|
열왕기하(1) 1:1-18 영적 내리막길에서 만난 엘리야와 아하시야 왕 |
 |
|
|
글쓴이 : 관리자
날짜 : 11-09-07 16:04
|
|
열왕기하(1) 1:1-18 영적 내리막길에서 만난 엘리야와 아하시야 왕
< 서 론 >
1. 이스라엘과 유다의 멸망
1) 1-17장, 북이스라엘의 멸망
a) 1:1-2:11 엘리야
b) 2:12- 13:25 엘리사
c) 14-17장 멸망
2) 18-25장, 남 유다의 멸망
a) 18-20장, 히스기야와 이사야
b) 21-23장 므낫세와 요시아개혁
c) 24장 유다멸망
2. 여로보암이 북 이스라엘을 창건한 후 50년간 세 번에 걸친 혁명이 있었습니다.
1) 초대왕 여로보암과 3대왕 바아사 시대를 제외하고는 이스라엘의 정세는 불안했음.
2) 오므리 왕조가 들어섬으로 이스라엘은 안정되게 되었고, 남 유다와의 긴장도 해소됨.
a) 그러나 이 시대는 외적인 안정과 번영과 달리 종교적으로는 암흑시대였습니다.
b) 왕상16:21-왕후10:11까지가 오므리 왕조를 다룸.
3) 오므리 왕가의 몰락은 아하시야 왕에서부터 시작됩니다(왕상22:40-왕하10:11)
a) 2년만에 아하시야가 병사하자 그의 동생 여호람(요람,왕하8:16)이 왕에 오름.
b) 여호람은 부왕과는 달리 바알신상을 제거도 했고(왕하3:2,3)
아람 군이 침입했을 때, 굵은 베옷을 입고 옷을 찢으며 회개도 했음(왕하6:24-30)
c) 그래서 성경도 “그 부모와 같이 하지는 아니하였다”고 했음(왕하3:2)
d) 아람의 벤하닷이 죽고 하사엘이 왕에 올랐을 때(8:7-27), 트렌스 요르단의
길르앗 라못을 탈환하려고 전쟁을 했다가, 부상을 입고 군대장관 예후에게
피살됨으로 오므리 왕조는 4대만에 무너져 엘리야의 예언처럼 됨(왕상21:29).
< 1-8절 > 우상을 섬기는 아하시야에게 임한 하나님의 진노
1-2절, 아하시야가 당한 고통과, 하나님께 대한 그의 자세는 어떠한가?
1) 1절, 아합이 죽은 후에 모압이 이스라엘을 배반함.
2) 2절, 아하시야가 사마리아에 있는 그의 다락 난간에서 떨어져 병듦
a) 설상가상으로 왕이 질병에 걸림
b) 그러나 자신의 병이 낫는 여부를 에그론의 신 바알세붑에게 물으러 사자를 보냄
* 하나님의 은혜가 없으면, 사람들은 점점 더 영적무지에 빠지고 완악하게 됩니다.
3-4절, 하나님은 이런 아하시야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리셨는가?
1) 엘리야를 보내어 하나님이 아니라 바알세붑을 찾아간 죄악에 대해,
아하시야 왕이 ‘반드시 죽으리라’고 선포하라고 하심.
* 이세벨의 우상숭배의 ‘영향/분위기’가 그의 아들 아하시야를 망쳤나이다....
5-8절, 바알세붑에게 보냈던 사자들이 왕에게 어떻게 보고했는가?
1) 5절, 생각보다 빨리 돌아온 사자들을 향하여, 왕은 ‘어찌하여 돌아왔느냐’고 물음.
2) 6절, 자신들이 가다가 한 사람을 만났는데,
a) 그가 ‘왕에게 돌아가서’, ‘이스라엘에 하나님이 없어서 네가 에그론의 신
바알세붑에게 물으려고 보내느냐 그러므로 네가 올라간 침상에서 내려오지
못할지라 네가 반드시 죽으리라 하셨다 하라 하더이다’
3) 7절, 왕이 그들에게 ‘너희를 만나 이 말을 한 사람이 어떤 사람이더냐’
a) 8절, ‘털이 많은 사람인데 허리에 가죽 띠를 띠었더이다’
b) 왕이 이르되 ‘그는 디셉 사람 엘리야로다’
* 오늘, 우리는 말씀과 가까이 해야 하고, 특히 하나님의 사람들과 가까이 해야 합니다.
< 9-16절 > 하나님의 진노의 경고를 무시하는 아하시야 왕
9-16절, 엘리야로부터 하나님의 경고를 들었던 왕은, 어떻게 반응했는가?
1) 회개하지 않고, 3차례나 50명의 군대를 보냄.
a) 9-10절, 첫 번째 오십부장과 그의 군사 50명이 엘리야에게 갔다가 불에 타 죽음
b) 11-12절, 두 번째 오십부장과 그의 군사가 갔다가 또 불에 타 죽음.
c) 13-14절, 세 번째 오십부장은 엘리야에게 무릎을 꿇어엎드려 살려달라고 요청함
2) 15-16절, 하나님은 엘리야에게 직접 왕에게 가서 죽음을 선포하라고 하심.
* 주님, 우리가 강퍅함에 이르도록 ‘내어버려두지 마소서...’
< 17-18절 > 예언대로 이뤄지는 하나님의 진노
17-18절, 하나님의 말씀처럼 아하시야가 여호람이 대신 왕이 됨.
1) 하나님께 대항하는 자, 하나님 앞에 심판을 피할 길이 없음을 보여줌.
2) ‘말씀대로 된다’는 사실에 대해, 주의해야 합니다.
a) 2년 만에 왕에 오른 후에 죽음.
b) 그의 동생 여호람이 왕이 됨.
* 교만은 패망의 선봉입니다. 겸비함으로 주의 은혜를 덧입어야 합니다.
* 모든 우상은 ‘탐심’의 결과입니다.
* 엘리야는 삶이 힘들고 어려울수록, ‘점점’ 하나님의 능력을 체험할 기회를 얻게 됨.
|
|
|